영상(애니메이션) 제작에 쓰이는 용어 모음 요약 - 기기 중심으로
용어
○ 영화 및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
Pre-production
기획단계로 시나리오, 모델팩, 스토리보드, 대사녹음, 시트타이머배정, 애니매틱 작업 등으로 이루어져 이 기획단계에서 애니메이션의 모든 것이 판가름 난다고 본다. 이 단계에서 모든 전체 적인 구상이 되기 때문에 나중에 되서 다시 수정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Production
제작작업으로 원화(직접 그림),동화(움직임),배경, 애니메이션 체킹, 비디오 작업, 필름작업, 디지털작업 등으로 나누어진다. 요즘에는 대부분 작업의 디지털화가 많이 이루어 졌다.
Post-production
보완작업으로 음향효과, mixing, 색보정 재편집등을 하게 된다.
○ 영화 및 애니메이션의 사전 제작
Synopsis
간단히 쓴 스토리(시놉시스는 플롯, 모티브 그리고 스토리의 중요한 인물들의 대략적인 윤곽이다. 감독과 프로듀서들에게 스토리에 대한 재빠른 정보를 주기 위하여 Reading Department에 의해 만들어지는 책이나 희곡의 요약이 시놉시스라고 불린다.)
Treatment
장편 시나리오의 경우 시나리오 본편을 쓰기 전에 구체적인 줄거 리를 쓰게 되는데 이를 말하며 A4용지 15에서 20매 정도로 길게 쓴다.
Scenario
스크린에 영사할 것을 전제로 하여 영화형식에 따라서 문장으로 작성한 각본을 말한다.
Storyreel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기 전에 스캔한 그림을 이용하여 대략적으로 만든 이야기흐름 영상을 말한다.
○ 비디오 포맷
VHS
VHS 카세트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저장하는 디지털 기록 미디어 규격. 1996년 JVC(Victor company of Japan)가 제안하여 표준으로 채택된 규격으로 표준 모드(STD), 고화질 영상 및 다채널 방송에 적합한 HS(high speed) 보드, 그리고 장시간 저장용 LS(low speek) 모드가 있다. 디지털 지상파 방송이나 디지털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 시에 많이 활용될 수 있다.
DV
Digital Video(DV)는 1994년에 나온 디지털 비디오 포맷으로 프로용에서도 쓰이지만 주로 가정용이나 아마추어 캠코더에 사용되는 MiniDV테잎을 사용한다. DV 설명서(Blue Book 이라고하며 IEC61834라고도 한다.)에는 압축방식과 비디오 포맷이 정의되어 있다. 특징은 intraframe 압축방식과 IEEE1394 전송방식을 사용하고 전의 8mm,Hi8, VHS-C에 비해 고화질이란 점이다. DV는 적은 비용으로 영상제작을 가능하게 하였다. 주로 독립영화나 특파원들에 의해서 쓰인다. DV표준에는 몇가지가 있는데, Sony의 DVCAM이나 Panasonic의 DVCPRO가 대표적이다.
HD
최근에는 720p나 1080i방식의 전송선을 가지는 화면방식이다. 1280*720의 해상도나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진다. 우리나라 방송사는 현재 720p방식을 사용한다. 풀HD급은 1080p방식이라 할 수 있겠다.
HDV
HD와 DV의 중간 단계의 포맷이다. dv 테잎에 HD급의 화질 정보를 저장한다. 이는 더 뛰어난 압축방식인 mpeg2에 의해서 가능하게 되었다.
○ 영상 편집
NLE(Non Linear Editing)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 시켜 하드디스크같이 랜덤액세스가 가능한 미디어에 기록해 컴퓨터상에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편집하는 것을 비선형(비직선)편집이라 부른다.
Linear Editing
비디오테잎의 화면과 소리를 선택하고 배열해서 직접 편집하는 것이다.
Time Code
동영상 편집시의 컨트롤을 위하여 비디오 테이프나 방송 등에서 각 프레임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 the Society of Motion and Television Engineers에서 제정한 것이 표준(SMPTE) 예) 0:01:08:10 -> 0시간 1분 8초 10프레임 위치
Frame
비디오나 영화, TV등이 영상 매체를 전달할 때 화면에 뿌려주는 한 장 한 장의 그림을 말한다.
Frame Rate
1초에 얼마나 많은 개수의 프레임(한 장의 그림)을 보여줄 것인가의 비율(Rate)을 말하는 것으로 단위로는 FPS(Frame Per Second)를 사용한다. 우리가 극장에서 보는 영화의 경우는 24fps를 가지며 이것은 1초에 24장의 그림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위성 DMB는 15fps, 지상파 DMB는 30fps이다.
29.97 fps
NTSC의 전송비율인데 30fps로 하면 비디오와 오디오를 녹음했을때 비디오가 100초당 3프레임씩 오디오가 엇갈리는 현상 때문에 100초(3000장)당 3장씩을 버리기 때문에 29.97fps가 되는 것이다. 엇갈리는 현상은 교류 전류의 파장의 높낮이 차이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Drop Frame
오디오와 비디오가 엇갈리는 현상 때문에 버리는 frame을 Drop Frame이라 한다.
그래서 재생모드에서 한 시간의 테이프 주행과 타임코드의 주행시간이 정확히 일치한다.
Non-drop Frame
한시간에 3.6초의 오차가 생긴다. 하지만 화면상 1시간당 총 108프레임을 버리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그래서 광고나 프로덕션 테이프를 편집할 때 사용한다.
○ 영상 신호 처리 및 송수신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NTSC는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의 약자로서 1953년 12월에 제정되어 일련의 TV 방송 송, 수신용 표준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해 설립된 미국의 기관입니다. 미국 연방 통신위원회(FCC)는 당초 3원색을 차례로 보내는 CBS방식을 채택했으나 그후 흑백 TV에서도 사용가능한 NTSC 방식을 채택했다. 프레임당 525주사선 수를 가지고 초당 30프레임을 전송 한다. NTSC방식은 한국, 미국, 일본, 대만, 캐나다, 멕시코 등 44개국이 사용한다.
PAL(Phase Alternate Line)
PAL은 독일, 영국, 중국, 북한, 브라질등 100여개국이 사용 한다. 프레임 당 625 주사선 수를 가지고 초 당 25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SECAM
SECAM은 프랑스에서 개발되었으며 프랑스, 동유럽, 러시아, 중동, 북아프리카 등지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시스템은 PAL과 같은 625 라인의 해상도, 초당 25 프레임 레이트를 사용하지만 컬러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은 PAL과 호환되지 않는다.
Interlace (or Interlaced scan)
프레임을 전송할 때 두 번 나누어서 하나의 완전한 프레임을 전송 하는 방식.
Progressive scan
프레임을 전송할 때 한번에 한 장의 완전한 프레임을 전송 하는 방식이다.
Field
인터레이스는 전체 주사선의 홀수 또는 짝수 주사선들만 먼저 보여주고,
그다음 시간차를 두고 짝수 또는 홀수선들을 보여 줍니다(앞에서 설명).
여기서 홀수 주사선들, 짝수 주사선들의 각각의 묶음을 필드(Field) 라고 부른다.
Moire
영상이나 사진을 스크린에 나타냈을때 본래의 화면상에는 없었던 어떤 지문(地紋) 형태의 무늬가 생기는 현상 또는 그 무늬.
○ 비디오/오디오 신호 전송
IEEE1394
차세대 인터페이스라 불리우는 IEEE1394는 최고 400Mbps 까지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기 때문에 캠코더나 동영상 편집 주변기기의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고속화 작업이 가능하다.
Firewire
미국 애플 컴퓨터 회사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사가 공동으로 제창한 고속 직렬 데이터 버스 규격.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이나 접속기의 형상 등 물리적인 부분에 대해서 결정된 규격으로, 후에 IEEE 1394로 규격화되었다. IEEE 1394는 주로 PC와 AV 기기의 접속을 상정한 통신 규격으로서 디지털동화상 전송 등을 의식해서 만든 것이다. ‘Fire-Wire’라는 명칭은 ‘불에 타서 연기가 올라가는 만큼 빠른 속도’라는 의미에서 붙여졌다.
HDMI
압축되지 않은 풀 디지털 오디오와 비디오 신호를 통합 전송할 수 있는 초고속 멀티미디어인터페이스. 기존의 컴포지트, 슈퍼 비디오, 컴포넌트 비디오 등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대체하는 규격으로, 새로 개발되는 DVD 플레이어, 고선명 텔레비전(HDTV), 셋톱 박스 등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5Gbps급의 디지털 비디오와 오디오를 압축하지 않고 그대로 처리함으로써 회로가 간단하고, 품질의 열화가 발생하지 않으며,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에 의한 콘텐츠 저작의 보호가 지원되고, 단일 케이블 연결로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컴퓨터 산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디지털 비주얼 인터페이스(DVI)와는 DTV를 위한 CEA-861 프로파일을 통해 호환 가능하다. 미국전기전자학회(IEEE)가 처음 제안했고 일부 유명 가전업체, 방송업계, 영화사에서 참여하고 있다.
DVI
DVI (D)igital (V)ideo (I)nterface의 약자로;
플랫패널 LCD 모니터를 비롯한 고급 디스플레이기기 및 하이앤드 그래픽 카드의 화질을 극대화 하기 위해 제작된 비디오 인터페이스 기술의 새로운 형식이다.
DVI는 P&D Plug & Display 표준의 대안이며, 구형 플랫패널용 digital-only DFP 포맷의 진보된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래픽 카드 사용자로부터 상당한 수요를 유발하고 있다.
DVI 연결에는 세가지 타입이 있다:1. DVI-D (Digital)2. DVI-A (Analog)3. DVI-I (Integrated Digital/Analog)
i-Link
소니의 IEEE1394 연결전송규격이다. i-link는 400Mbps의 전송속도를 가지고 63개의 장치까지 연결하여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Component
신호를 3개의 회선으로 분류하여 비디오 아날로그 신호를 보내는 방식. 화질이 상당히 좋다.
Composite
NTSC, PAL, SECAM 의 표준 신호 방식이다. 하나의 회선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화질은 그렇게 좋지 않다.
S-Video
신호를 2개의 회선으로 분류하여 보내는 방식. 화질이 좋다.
○ 색
RGB
red, green, blue를 다양한 방법으로 혼합하여 색을 얻는 방식이다. 모니터 상에서 구현되는 빛깔이고 빛의 삼원색이라고도 한다. 3개의 색을 모두 합치면 흰색이되고 모두 빼면 검은색이된다.
Y/C
휘도신호(Y)와 색상신호(C)로 구별하는 방식. composite와 S-Video에서 이 신호를 사용한다.
YUV
휘도 신호(Y), 휘도 신호와 적색 성분의 차(U), 휘도 신호와 청색 성분의 차(V)의 3가지 정보로 색을 나타내는 형식. 텔레비전(TV)에 사용되는 색 표현 방식으로, Y 성분은 오차에 민감하므로 색상 성분인 U와 V보다 많은 비트를 코딩하며, Y:U:V의 비율은 보통 4:2:2 이다. CD-I와 DVI(Digital Video Interactive)에서도 사용된다. RGB 값을 YUV로 변환식은 Y=0.3R+0.59G +0.11B, U=(B-Y)x0.493, V=(R-Y)x0.877이며, 반대로 YUV 값을 RGB로 변환식은 R=Y+0.956U+0.621V, G=Y+0.272U+0.647V, B=Y+1.1061U+1.703V이다. 즉 빛에 둔감한 칼라 정보라고 판단되어 YUV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하고 있다.
YCM
yellow, cyan, magenta를 색을 혼합하여 모든 색을 얻는 방식이다. 프린트상에 구현되는 방식이고 3개의 색을 모두 함치면 검은색이되고 모두 빼면 흰색이 된다.
Color Correction[색조정]
필름의 색조를 일관되게 만드는 과정. 영화촬영은 옥외와 실내, 그리고 각기 다른 장소에서 촬영되기 때문에 각 장소별 다른 조명의 색온도가 색편차를 초래한다. 이를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필름에 다른 색조 등을 추가하거나 조정하여 필름의 색균형 등을 변화시킨다.
Color Temperature[색온도]
광원의 빛을 수치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이다. 어떤 물체가 빛을 띄고 있을 때, 이 빛과 같은 빛을 띄는 흑체의 온도를 이용하여 물체의 색온도를 결정한다. 보통 실제 온도보다 약간 높은 값을 가진다.
White Balance
컬러 카메라에서 적·청·녹 3색의 색 신호 회로가 제각기 감도와 증폭도의 균형을 이루어 색을 재현시키는 것 촬영 때 조명광의 색온도에 맞춰 미리 조절해야 한다 흰 피사체에 카메라를 향해 흰 것이 재현되도록 3색의 색 신호 게인을 조절한다
○ 화면
Letter Box
텔레비전 화면비 16:9를 4:3에 맞추는 방법. 16:9 화면의 너비를 4:3의 너비에 맞게 일정한 비율로 줄여 주는 방식으로 4:3 화면의 상하에 2개의 검은 띠가 생기는 것을 레터박스라고 하며, 보통 자막이 나오게 하는 용도로도 쓰인다. 이 방식은 16:9 화면이 잘림 없는 상태로 맞춰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검은 띠가 생겨서 눈에 거슬린다는 단점이 있다.
Anamorphic
2.35:1 비율의 영화를 1.85:1 와이드 스크린 TV에 꽉 찬 화면으로 감상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방법이 필요한데, 그것은 세로 비율을 약간 늘려서 화면에 맞추는 방법이다. 이미지를 단순히 세로로 확대하게 되면 해상도가 많이 떨어져 최종 화면 이미지의 질을 현격히 떨어뜨린다. 그래서 DVD타이틀을 제작하기 전에 세로로 늘어난 부분의 해상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미리 보정해서 제작해 재생시 보정된 영상정보를 재생하게 되고 선명한 영상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이 처리하는 것을 anamorphic이라 한다. 아노몰픽 처리된 영상은 원본 영상 보다 세로 방향으로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Aspect Ratio
화상(晝像)[영상]의 가로 세로의 비(比), 영상비
○ 마이크 및 오디오 기기
XLR Connector
흔히 전문가용 오디오,비디오 기기에 쓰이는 연결단자이다.
Phono Plug
흔히 오디오 증폭기에 쓰이는 잭의 일종 RCA 플러그라고도 한다
RCA Connector
매우 낮은 장파 내지 수 MHz 주파수 범위에서 동축 케이블 용도로 만들어진 하나의 플러그와 잭. 이것은 전화 플러그 잭으로서, 플러그는 중앙에 지름 약 2mm의 핀과 내부 지름 약 6mm의 외부 셀로 구성되어 있고, 플러그 셀은 나사형이 아닌 슬롯형으로 잭이나 콘센트로부터 삽입·분리가 용이하며 동축 케이블의 외부 차폐에 연결되어 있다. 중앙 핀은 케이블 중앙 도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잭은 몸통이 접지되고 가운데 구멍은 도체로 되어 있다. 음성 주파수에 적합하며 출력 약 100W까지 장·중파 RF 시스템에도 사용된다.
Mini Jack
오디오를 전송하기 위해 쓰는 단자이다. 2.5mm 모노 3.5mm 모노와 스테레오 방식 6.3mm 스테레오 방식의 잭이 있다.
○ 렌즈
Standard Lens
사각(寫角)이 50° 내외의 것을 표준렌즈의 기준으로 한다. 육안으로 한 점을 보았을 때 전체나 색채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은 50°의 시각 내이고, 그 외측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안구(眼球)를 움직여야만 한다.
이 전체의 형태를 식별할 수 있는 50°의 시각에 맞추어 표준의 기준이 생겨났다. 따라서 표준렌즈로 촬영한 사진은 원근감(遠近感)이 비교적 자연스럽게 묘사되는 것이 특징이며, 일반 카메라에는 표준렌즈가 붙어 있다.
카메라에 채택된 실제 표준렌즈는 기구적인 제약 때문에 기준에서 벗어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하프사이즈는 28∼32mm, 35mm판은 45∼50mm, 6×6판은 75∼80mm의 초점거리 렌즈가 많다.
다만, 일안리플렉스카메라는 반사망원렌즈가 있기 때문에 이 기준보다 초점거리가 약간 길어서, 예를 들면 35mm 일안리플렉스카메라에서는 50∼58mm로 되어 있다.
Wide Angle Lens
넓은 각도의 시야를 가진 렌즈. 초점 거리가 짧고 초점 심도가 깊으며, 큰 대상물을 촬영할 때 쓴다.
Fisheye Lens
초점 거리 17mm 이하의 단초점 렌즈로 술통형의 왜곡을 만들어 내는 특수 렌즈이다. 극도로 넓은 시계(180도) 까지도 표현할 수 있다.
Macro Lens
접사 촬영을 하기 위하여 만든 고해상력 렌즈. 10분의 1배 정도의 촬영에 기준을 둔다.
Telephoto Lens (or Long Focus Len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렌즈보다 초점거리가 길고 사각(寫角)이 약 30°보다 좁은 렌즈를 말한다. 원래는 멀리 있는 물체를 사진으로 담기 위해 만들어졌으나, 현재는 사진의 심도가 얕게 찍히는 효과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Zoom Lens (Variable -Focal Length Lens)
초점이나 조리개값이 변하지 않은 채로 초점거리를 연속해서 바꿀 수 있는 렌즈이다. 다양한 초점거리를 이용한 독특한 촬영기법이 사용가능하고, 초점거리를 쉽게 바꿀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단초점렌즈에 비해 색수차가 크고 렌즈가 무겁다는 단점도 있다.
Focal Length
렌즈나 구면거울 등의 중심, 즉 주점과 초점과의 거리이다. 초점거리가 클수록 렌즈의 발산, 수렴작용은 약하며, 렌즈의 앞과 뒤에 놓인 매질의 종류가 같을 때에는 양쪽의 초점거리가 같다.
Depth of field [피사계심도]
피사체에서 원점까지를 후방심도(後方深度), 근점까지를 전방심도(前方深度)라고 한다. 초점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조금씩 흐려지나 흐림이 매우 적은 피사계심도 내에서는 초점을 맞춘 거리와 같은 정도로 선명하게 찍히며 이것을 피사계심도의 기준이 되는 허용흐림이라고 한다. 보통 전방보다도 후방심도가 크므로 의식적으로 앞쪽에 초점을 맞추면 피사계심도를 유효하게 쓸 수 있다. 또 피사계심도는 렌즈를 좁힐수록 또는 피사체 거리가 멀수록 심도는 깊어진다.
,,
과제로 정리한 용어들 입니다.
용어 하나하나 이해하려면 이것가지고는 부족하겠지만
혹시나 나 말고 딴사람들에게 도움 될까 싶어올립니다.
참고한 곳은 네이버 검색과 구글(wiki사전)에서 대부분 가져왔습니다.
특히, 구글에서 검색 된 영어로 된 자료들이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설명이 잘 되어 있죠